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openstack
- 경주
- cloud foundry
- 모리셔스
- 서울야경
- postgresql 비밀번호 변경
- bind9
- 경주 여행
- postgresql 비밀번호 초기화
- Melbourne 여행
- duabi
- 서울 야경
- mauritius casela
- 독일여행
- 모리셔스여행
- r
- Sony A850
- 느낌 사진
- 모리셔스 카젤라
- 모리셔스 여행
- 두바이여행
- 모리셔스리조트
- 트루오비쉬
- Trou aux Biches
- 모리셔스 카셀라
- 톰캣 서비스 등록
- mauritius
- postgresql 설치
- 프랑크푸르트 여행
- 두바이
- Today
- Total
I.K.Picture & IT Info.
구매한 도메인 직접 네임서버 구축하여 서비스하기 본문
일반적으로 도메인을 구매하는 업체 (카페 24, 가비아 등)에서는 네임 서버를 제공해주기 때문에
큰 문제가 없는데요.
간혹 직접 네임 서버를 구축할 필요가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와일드카드(*) 형태의 A레코드 등록이 필요한데 제가 구매한 카페24에서 할 수가 없더라구요.
그래서... 직접 네임 서버를 구축해보았습니다.
전 일단 우분투 기반으로 작업하였는데 딱히 리눅스 운영체제면 크게 상관없어보여요2
첫번째, 관련 PORT 열어주기.
TCP : 53
UDP : 53
에 대하 인바운드 아웃바운드 모두 열려 있어야합니다.
두번째, 관련 소프트웨어를 설치한다.
#apt install bind9
세번째, ipv4에 대해 사용하도록 설정한다. (아래 파일에 -4를 추가해주면된다)
#vi /etc/default/bind9
OPTIONS="-4 -u bind" |
네번째, bind9 설정 폴더에 있는 named.conf.local 에 zone을 설정한다.
zone은 2가지를 설정하는데요. 일단 먼저 도메인 존 (domain.shop)
그리고 아이피 존 (만약 아이피가 100.101.102.103 이라면 101.100.in-addr.arpa)
앞 두자리를 뒤집어서 작성하는 것입니다.
file 부분에는 실제 설정이 작성되어있을테니 존과 동일하게 작성하면되는데 앞에 db를 붙여주세요.
zone "domain.shop"{ };
zone "101.10.in-addr.arpa"{ type master; file "/etc/bind/zones/db.10.101"; }; |
다섯번째, db.domain.shop 작성
$TTL 604800 @ IN SOA ns.domain.shop. root.domain.shop. ( 4;Serial 604800;Refresh 86400;Retry 2419200;Expire 604800 );Negative Cache TTL ; @ IN NS ns.domain.shop. @ IN A 100.101.102.103 www IN A 100.101.102.103 * IN A 100.101.102.103 |
여섯번째, db.10.101 작성
$TTL 604800 @ IN SOA ns.domain.shop. root.domain.shop. ( 3 ; Serial 604800 ; Refresh 86400 ; Retry 2419200 ; Expire 604800 ) ; Negative Cache TTL ; @ IN NS ns.domain.shop. 103.102 IN PTR domain.shop. |
일곱번째, 네임서버 resolve 서버 아이피로 변경
#vi /etc/resolvconf/resolv.conf.d/head
nameserver 100.101.102.103 //추가내용
여덟번째, bind9 재시작
#service bind9 restart
이렇게 한 후 cafe24 같은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네임서버를 변경했습니다.
1. 네임서버 호스트 관리 메뉴에 들어가 구매한 domain.shop 에 대해 호스트를 등록한다
ns.domain.shop
100.101.102.103
2. 네임서버 변경 메뉴에 들어가 그 외 네임서버에서
호스트는 ns.domain.shop,
ip주소는 100.101.102.103
로 수정하면되는데 현재 전 네임서버를 하나 밖에 설정안했기 때문에 1차와 2차에 모두 동일한 주소를 작성합니다.
이렇게 설정하면 와일드카드가 적용된 네임서버를 직접 구축한 dns 서버를 통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혹시 도메인이 잘 연결되고 있는지 확인이 필요하면 아래 사이트를 통해 도메인을 검색해보세요.
그러면 연결되는 부분.. 혹시 연결이 되지 않는다면 연결되지 않은 곳까지
친절하게 보여줍니다.
https://simpledns.plus/lookup-dg
추가로 작성한 내용이 잘 작성되었는지 확인하는 법에 대해서도 아래 작성하였습니다.
(문법 체크)
#named-checkzone domain.shop /etc/bind/db.domain.shop
#named-checkzone 101.100.in-addr.arpa /etc/bind/db.100.101
이 때 OK 라는 내용이 출력되면 됩니다.
'Desktop and Mobile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7] 방화벽 열기 / 사용중인 포트 확인 (0) | 2020.04.17 |
---|---|
[CentOS7] 멀티 NIC 설정하기 (Ubuntu도 가능) (0) | 2020.04.16 |
[ubuntu] NAS 공유 저장소 연결 (mount error(95) Operation not supported 문제에 대해서도) (0) | 2020.02.14 |
[ubuntu] Apache HTTP Server Reverse Proxy 사용 설정 (4) | 2020.02.14 |
[ubuntu] 18.04LTS에서 netplan 사용 중지하고 기존 interface 설정으로 변경.. (0) | 2020.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