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톰캣 서비스 등록
- postgresql 설치
- 서울야경
- Sony A850
- 프랑크푸르트 여행
- 경주 여행
- 두바이여행
- duabi
- openstack
- Trou aux Biches
- mauritius
- cloud foundry
- Melbourne 여행
- 모리셔스 카셀라
- bind9
- mauritius casela
- 모리셔스 여행
- 서울 야경
- postgresql 비밀번호 초기화
- 모리셔스여행
- r
- 느낌 사진
- 모리셔스리조트
- 모리셔스 카젤라
- 두바이
- postgresql 비밀번호 변경
- 모리셔스
- 독일여행
- 경주
- 트루오비쉬
Archives
- Today
- Total
I.K.Picture & IT Info.
TOMCAT 서비스 등록 본문
반응형
자바 웹 서버 컨테이너인 TOMCAT
리눅에서 설치 명령어를 통해 설치(데비안 계열 apt, 레드헷 계열 yum)
하면 서비스에 알아서 등록되기 때문에 아래 내용이 필요없지만
홈페이지에서 직접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경우
서비스 등록을 하지 않으면
매번 bin 폴더에 들어가 시작과 정지를 해줘야합니다.
이를 서비스로 등록하기 위한 과정으로
간단하게 아래와 같이 내용을 수행하면 처리할 수 있습니다.
$sudo vi /etc/init.d/tomcat
#!/bin/bash ### BEGIN INIT INFO # Provides: tomcat # Required-Start: $ remote_fs $syslog # Required-Stop: $remote_fs $syslog # Default-Start: 2 3 4 5 # Default-Stop: 0 1 6 # Short-Description: auto start Tomcat server # Description: start web server ### END INIT INFO case $1 in start) sh /톰캣위치/bin/startup.sh ;; stop) sh /톰캣위치/bin/shutdown.sh ;; restart) sh /톰캣위치/bin/shutdown.sh sleep 2 sh /톰캣위치/bin/startup.sh ;; esac exit 0 |
$sudo chmod 755 /etc/init.d/tomcat
$sudo update-rc.d tomcat defaults
$service tomcat start
반응형
'Desktop and Mobile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LVM 기반 디스크 확장하기 (0) | 2021.01.07 |
---|---|
[압축] tar/tar.gz 압축 및 분할 압축 (0) | 2020.11.26 |
[CentOS 7] 방화벽 열기 / 사용중인 포트 확인 (0) | 2020.04.17 |
[CentOS7] 멀티 NIC 설정하기 (Ubuntu도 가능) (0) | 2020.04.16 |
구매한 도메인 직접 네임서버 구축하여 서비스하기 (0) | 2020.04.15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