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mauritius casela
- 트루오비쉬
- 모리셔스 여행
- 경주
- 모리셔스여행
- mauritius
- 독일여행
- postgresql 비밀번호 초기화
- 모리셔스 카젤라
- 두바이
- Trou aux Biches
- 프랑크푸르트 여행
- Melbourne 여행
- 느낌 사진
- openstack
- 경주 여행
- 두바이여행
- postgresql 비밀번호 변경
- bind9
- postgresql 설치
- 톰캣 서비스 등록
- 모리셔스 카셀라
- duabi
- 모리셔스
- 서울야경
- 모리셔스리조트
- r
- 서울 야경
- cloud foundry
- Sony A850
- Today
- Total
목록Desktop and Mobile (80)
I.K.Picture & IT Info.
일반적으로 도메인을 구매하는 업체 (카페 24, 가비아 등)에서는 네임 서버를 제공해주기 때문에 큰 문제가 없는데요. 간혹 직접 네임 서버를 구축할 필요가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와일드카드(*) 형태의 A레코드 등록이 필요한데 제가 구매한 카페24에서 할 수가 없더라구요. 그래서... 직접 네임 서버를 구축해보았습니다. 전 일단 우분투 기반으로 작업하였는데 딱히 리눅스 운영체제면 크게 상관없어보여요2 첫번째, 관련 PORT 열어주기. TCP : 53 UDP : 53 에 대하 인바운드 아웃바운드 모두 열려 있어야합니다. 두번째, 관련 소프트웨어를 설치한다. #apt install bind9 세번째, ipv4에 대해 사용하도록 설정한다. (아래 파일에 -4를 추가해주면된다) #vi /etc/defaul..
NAS에서 공유저장소를 연결하려면 일단 cifs-utils 소프트웨어가 있어야합니다. #apt install cifs-utils 이후 단순히 아래 명령어로 바로 연결이 가능해요 (먼저 연결한 폴더는 생성해야합니다) $mkdir data $sudo mount -t cifs //xxx.xxx.xxx.x/[공폴더름] data -o user=[user이름],pass=[비번이],rw 명령어를 정리하자면 sudo mount -f cif [원격자 저장소] [연결한 로컬 폴더] -o 사용자이름,비밀번호 등 옵션 입니다. 근데 이때, 혹시나 mount error(95) Operation not supported 에가 뜰 경우 -o 에다가 vers=1.0 을 추가하셔야됩니다. $sudo mount -t cifs //xxx..
내부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는 프록시.. 그것도 리버스 프록시.. 아파치 HTTP 서버에서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아주아주 간단하게 설명하고자합니다. 기본적으로 아파치는 설치 되어 있다고 가정하구요.. site-available 에 있는 000-default.conf 에다가 아래와 같이 설정을 하면됩니다. (아주 간단해요) ... ProxyRequests Off Order deny,allow Allow from all ProxyPass / http://127.0.0.1:8080/ ProxyPassReverse / http://127.0.0.1:8080/ ... 이 때 가장 중요한? ProxyPass와 ProxyPassReverse 부분에 대해 어떻게 설정할지를 말씀드리면 처음 "/" 로..
ubuntu 18.04 부터는 netplan으로 네트워크 설정이 변경되서 YAML 파일로 간단하게 ip를 설정할 수가 있습니다. 이러한 설정으로 변경된게 뭐 다양한 렌더링으로 편리하게 ?? 수정할 수 있다고 해서 좋은데요.. 2020/01/18 - [Desktop and Mobile/Linux] - [ubuntu] netplan 으로 변경된 18.04 LTS에 멀티 NIC 문제가 있어요.. 뭐 일반적인 리눅스 서버를 데스크탑처럼 사용할 때는 문제가 없지만 만약 가상 네트워크를 활용하려면,,, 지원을 하고 있지 않다고 합니다 (2020년 1월 기준.. 변경될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가상네트워크 기술을 활용하려면 netplan 사용을 중지하고 기존 interface 형태로 변경이되어야 하는데요 뭐 ..
18.04버전부터 네트워크 설정이 변경되었죠.. Netplan 형태로요 물론 기존 interfaces를 통해서도 계속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하시려면 아래처럼 net-tools를 설치해주시면되요 $sudo apt install net-tools 근데 분명 바뀐이유가 있겠죠...??? 그렇기 때문에 전 설치를 안하려고 예전과 동일한 상황을 만드려다보니 영 어떻게 해야될지 모르겠더군요 무엇을 하고 싶었는지.. 보자면.. 바로 아래 글입니다. 2018/10/02 - [Desktop and Mobile/Linux] - [ubuntu] 멀티 NIC 일 경우 게이트웨이 설정 [ubuntu] 멀티 NIC 일 경우 게이트웨이 설정 일반적으로 Ubuntu에서 네트워크를 설정할 때 사용되는 설정입니다. 설정 파일은 /e..
2020년 첫 글이네요... 모아놓고 쓴다고 해놓고 자꾸 쌓이기만하는 블로그 글.... 앞으로는 최대한 바로바로 정리를 해볼 예정입니다. Ubuntu 디스크 마운트 방법입니다. 1. 디스크를 확인한다. 2. 파티션을 생성한다. 3. 포맷한다. 4. 마운트 한다. 1. 디스크를 확인한다. $sudo fdisk -l 2. 파티션을 생성한다. $sudo fdisk /dev/sdb 이 때, /dev/sdb 의경우 위에 디스크 확인에서 나온 Disk 위치 입니다. 3. 포맷한다. $sudo mkfs.ext4 /dev/sdb EXT4 로 포맷된다. 4. 마운트 한다. 이 때, 부팅할 때마다 적용이되야하기 때문에 UUID를 확인한다. $sudo blkid $sudo vi /etc/fstab 에 들어가서 아래와 같이 ..
Parallels은 Mac에서 Windows, Linux 등을 동시에 구동할 수 있는 아주 좋은(?) 프로그램입니다. 그런데 가격이... 2019년 9월 기준으로 15 버전이 최신인데,,, 이렇게 가격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뭐 9만 6천원이 제일 싸니까... 그걸 구매하면 사실 15버전으로는 계속 사용할 수 있는 그런 버전이되는거죠 사실 뭐 윈도우깔려면 왜 맥 쓰십니까?? 라고 하실 수 있지만 문서 작업이 많고 등등 그러다보니 한글같은건 윈도우에서 사용할 수 밖에 없더군요 (맥에서도 사용할 수 있지만 오류가 많다는 소리에....) 째든 그래서 어떻게하면 구매를 싸게할까... 싶어서 알아본 것이 바로 아래 사이트 입니다. OnTheHub 라고 해서 학교를 검색해 가입할 수 있고... 이렇게 해서 등록이되면..
인터넷이 연결된 곳이라면, apt-get 을 이용해서 얼마든지 ubuntu에서 제공하는 해키지를 의존성 포함해서 쉽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쫌 드물긴 하지만.. 혹시 인터넷이 안되는 곳에서는 어떻게해야될까요.. (물론 이 경우에도 이미 인터넷이 다른 곳에서 된다는 가정하에 말씀드립니다) 방법 자체는 간단하죠.. deb 파일 받아서 하면되지!! 맞습니다!! 그런데 python-dev만 설치하더라도.. 의존성 있는 프로그램들을 한꺼번에 설치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걸 하나씩 확인해가면서 deb를 수동으로 다 받을 수는 없잖아요??ㅎㅎ 이 사항을 한번에 받는 방법.. 그리고 설치시 주의(?) 해야되는 사항에 대해 포스팅하려고합니다. 이것도 뭐 딱히 스크린 샷을 찍을 내용이 없기 때문에 말로 열심히 풀겠습니..
애플의 경우 iOS 또는 macOS 소프트웨어를 공개 하기 전에 베타 테스트를 상당히 오래? 가지게됩니다. 메인 장치 (노트북을 업무에 사용하거나... 휴대폰으로 사용하는 등..)에는 베타를 쓰기 쉽지 않겠지만 개발 용도, 재미 용도로 사용하는 기기에는 많이들 베타 버전을 써보고 싶어 하시죠 간단하지만 모르면 못하는 공개 베타 버전 업데이트 방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베타 버전은 개발자 베타와 공개 베타가 있습니다. 말 그대로 개발자 베타는 개발자 등록을 마친 자들에게 공개함으로 한단계정도 더 빠른 베타 버전을 공개합니다. 개발자 베타 버전 테스트가 마치면 그 버전이 공개 베타로 넘어오는 그런 느낌이더라구요 (예를들어 공개 베타 버전이 현재 제공되는게 베타 1버전이라면 개발자 베타 버전은 베타 2버전이....
어떻게 보면 정말 이럴꺼면 그냥 데스크탑을 설치하는게 좋지 않냐.. 라고 생각할 수도 있는 작업일 수도 있겠네요 기본적으로 우분투 server를 설치하게되면 프린트 스크린 샷(Ps/Sr) 뭐 이런 것들이 전혀 사용이 되지 않습니다. 그런데 작업을 하다보면 이걸 가지고 블로깅을 하든 안하든 정리하기 위해 스크린샷으로 저장을 할 때가 있는데 당연히 .... 기능이 없지요 이를 스크린샷이 되도록 하는 기능 자체가 xfce4 추가 소프트웨어로 있습니다. 간단하게 설치 후에 설정을 해주면 되요 일단 api 저장소를 통해 설치를 합니다. $sudo apt install xfce4-screenshooter 그 다음 setting -> keyboard -> Application Shortcuts 을 들어가면 아래 그림..
Ubuntu Server를 설치하게 되면 CUI 환경에서 작업이 되죠 타자로 모든걸 쳐야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이게 장점이 될 때가 더 많고 시스템 부하도 없기 때문에 (굳이 GUI 환경이 필요가 없는 경우가 많아...) Server 형태를 설치하게되는데 갑자기 서버를 설치하고 싶은데... GUI가 필요한.. 일이 생길 때도 (그런 일이 솔직히 있을까요...?) 뭐 째든 전 그런 일이 생겨서;;; 겸사 겸사 여러 GUI 패키지를 찾아보고 설치해본 결과 아래 정리한 내용이 그나마 조금 가벼우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GUI 형태여서 이렇게 정리해봅니다. 일단 xfce 기반이구요 그러면서 slim이라는 간단한 로그인 관리자를 사용한 그런 방법입니다. 이와 동시에 gui 형태다보니.. 한글이 깨지는 경우..
간혹 Boot 영역이 꽉차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유는 대부분 뭐 이렇죠 원인커널 업데이트가 되면서 이전 커널에 대한 이미지는 지워지지 않기 때문에 생기는 오류.요즘에는 하드 크기가 커지고 좋아지면서 리눅스 설치 시 이러한 사항을 방지하기 위해 /boot 파티션 영역을 따로 구분하지 않고 / 에 포함하여 설치하지만 “기본 설치” 선택 시 설치 관리자가 알아서 /boot 영역을 별도 구분하여 구성하기 때문에 이런 사항이 일어날 수 있음 이럴 때 해결 방법은 수동으로 구 커널을 삭제해야됩니다. 주의사항절대 현재 설치되어 있는 커널 삭제하면 안됨 전체적인 흐름1. 서버 접속2. root 사용자로 전환3. 현재 설치된 커널 확인 4. 현재 설치된 모든 커널 확인5. 현재 설치된 커널 외 다른 커널 삭제..